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이 가속화되면서,
40~70대 분들이 주거와 관련하여 다양한 고민을 하고 계십니다.
이러한 고민들을 세 가지 주요 주제로 나누어 살펴보고, 각각의 해결 방법과 관련 혜택을 안내해드리겠습니다.
1. 적합한 주거 공간의 선택
많은 중·장년층은 은퇴 후 편안하고 안전한 주거 환경을 원하지만,
기존 주택이 고령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엘리베이터가 없고 계단으로만 이동해야 하는
4층짜리 빌라에서 거주하는 70대 박 씨는
무릎 관절염이 심해지면서 외출하는 것이 점점 힘들어졌습니다.
또, 65세 김 씨는 혼자 사는 원룸에서 한밤중 갑작스러운 가슴 통증을 느꼈지만,
가까운 곳에 병원이 없어 응급실에 도착하는 데만 40분이 걸렸습니다.
이처럼 주거 환경은 노후의 건강과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.
그에 따라 정부는 이러한 분들을 위해 [고령자 복지주택]을 확대 공급하고 있습니다.
이 주택은 만 65세 이상의 무주택 세대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며,
안전 손잡이, 무장애 설계, 응급 호출 시스템 등 고령자 친화적인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.
또한, 같은 단지 내에 건강관리 서비스와 노인복지시설이 함께 운영되어 더욱 편리합니다.

✅ 신청 방법
국토교통부(https://www.molit.go.kr) 또는
복지로(https://www.bokjiro.go.kr)에서
자세한 정보를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습니다.
2. 경제적 부담과 주거 비용
은퇴 이후 고정 수입이 줄어들면서 주거 비용에 대한 부담이 커지는 것이 현실입니다.
68세 이 씨 부부는 서울에 있는 월세 아파트에서 살고 있는데,
매달 80만 원의 월세와 20만 원 이상의 관리비를 내다 보니 생활비가 빠듯합니다.
반면, 72세 최 씨는 자녀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려고 소형 오피스텔을 임대했지만,
보증금과 월세 상승으로 인해 이사를 고민하고 있습니다.
이처럼 주거 비용 문제는 많은 노년층이 직면한 현실적인 고민입니다.
그에 따라 정부는 저렴한 임대료로 거주할 수 있는
[고령자 임대주택]을 운영 중입니다.
예를 들어, 일부 지역에서는 한 달 약 5만 원의 임대료로 입주할 수 있는 공공임대주택이 제공되며,
이 주택에서는 식사 지원, 건강 관리 서비스 등도 받을 수 있습니다.
2025년부터 이러한 주택 공급이 연 1천 호에서 3천 호로 확대될 예정입니다.

✅ 신청 방법
LH청약센터(https://apply.lh.or.kr)에서 신청 가능하며,
소득 및 자산 기준을 충족하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3. 사회적 고립과 건강 관리
은퇴 후 사회적 활동이 줄어들면서 고립감을 느끼거나,
건강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많습니다.
66세 정 씨는 배우자를 먼저 떠나보낸 후 대화할 상대가 없어 우울증이 심해졌고,
75세 손 씨는 혼자 지내다 보니 식사를 제때 하지 않아 건강이 악화되었습니다.
이처럼 사회적 관계가 단절되면 정신적, 신체적 건강 모두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그에 따라 최근 건설사들은
고령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주거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.
예를 들어,
롯데의 '마곡 VL르웨스트' : 단지 내에 커뮤니티 시설을 갖춰 입주민들 간 교류가 활발하며, 건강 프로그램이 운영됨.
엠디엠플러스의 '백운호수 푸르지오 숲속의 아침' : 자연 친화적 환경과 함께 의료 서비스 및 여가 시설을 제공.
또한, 정부에서는 [독거노인 친구 맺기 서비스]를 제공하여
고령층이 정기적으로 사회복지사나 자원봉사자와 교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.
✅ 신청 방법
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(https://www.1661-2129.or.kr)에서 신청 가능.
결론
고령화 시대에 맞춰 다양한 주거 지원과 복지 혜택이 마련되어 있으니,
본인에게 맞는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보다 편안하고 안정된 노후를 준비하시기 바랍니다.
이상 잔잔바리로 살아가기 위한 경제 상식이었습니다
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

'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울에서 가장 많이 떨어진 아파트는? 서울 아파트 하락률 TOP 4 ( -43% ~ -31% ) (2) | 2023.04.17 |
---|---|
하락률이 가장 높은 경기도 아파트 TOP 5 ( -43% ~ -33% ) (0) | 2023.04.14 |
카카오뱅크 전월세보증금 신청 방법과 꼭 알아야할 점 (0) | 2023.04.04 |
가장 싼 서울 아파트 TOP 5(40평 이상, 500세대 이상) (2) | 2023.04.03 |
댓글